2021. 5. 5. 14:44ㆍ세상
종합소득세 신고는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.
작년 초에 퇴사를 해서, 직접 신고해본 건 올해가 처음이었다.
혹시라도 나 같은 사람이 있을까 봐 후기를 남긴다.
처음에는 어려워 보였는데, 막상 해보니까 생각보다 엄청 간단하다.
홈택스 아이디만 있으면 된다.
우선 로그인 후 My홈택스에 들어간다.
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 나면 저렇게 했다고 뜬다.
마이너스면 돌려받는 걸로 알고 있다. 나는 50만 원 좀 넘게 나왔다.
신고를 안 했다면 못 받았을 돈이다.
지급명세서등 제출내역을 누르면 간편인증과 공동인증서로 인증, 2개의 아이콘이 뜬다.
간편인증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.
세상이 참 좋아졌다.
빈칸을 입력하면 카카오톡으로 톡이 하나 온다.
(만약 카카오톡 지갑을 처음 사용하는 거라면 별도의 가입 절차가 뜬다.)
카카오톡에서 인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인증이 끝난다.
그럼 아래처럼 내역을 전부 확인할 수 있다.
다른 건 볼 필요 없고, 귀속년도가 2020년(작년)인 것만 확인했다.
나 같은 경우 퇴사하기 전의 근로소득 + 청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 참여해 받은 기타소득, 크게 2가지였다.
메인으로 가서 종합소득세 신고 아이콘을 누른다.
정기신고 작성을 눌러준다.
(만약 나와 다른 경우라면 해당하는 신고서를 작성한다.)
아까 확인한 대로 유형을 체크해준다.
이다음부터는 할 게 없었다.
이미 그쪽에서 신고한 내역이 조회를 누르면 전부 뜨기 때문에,
보이는 대로 조회와 다음을 눌러준다.
옆에 보면 절차가 11단계 정도 되는데, 끝날 때까지 저장 후 다음을 눌렀다.
아르바이트라던지, 거주자 사업소득 같은 경우는 직접 입력해야 하는 게 있다.
(맨 아래 링크 참고)
계속 누르다 보면 신고가 끝난다. 여기서 하나 더 할 게 있다.
바로 지방소득세 신고다.
지방소득세는 위택스라는 사이트에서 해야 한다.
Step 2. 신고내역을 클릭하면 방금 신청한 내역이 뜨는데,
빨간색 버튼으로 된 신고이동을 누르면 저절로 연동이 된다.
내역이 알아서 채워져서 위택스 창이 뜬다. 그럼 확인하고 신고만 하면 된다.
만약 신고가 제대로 된 건지 확인하고 싶으면, 접수증 보기를 클릭한다.
접수번호를 복사해서 위택스로 접속한다.
(아래는 지방소득세가 제대로 신고됐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므로, 생략해도 무방)
위택스에 들어가서 개인지방소득세 신고 납부-종합소득분 신고를 누른 후 비회원 신고를 누른다.
비회원 신고내역 조회 버튼을 눌러서 들어가면, 홈택스접수번호 조회라는 게 있다.
위에 복사한 접수번호를 넣으면 신고내역이 뜬다.
이렇게 지방소득세까지 신고가 완료됐다.
*여기까지 나의 경우이고, 만약 다른 소득이 있다면 절차가 달라질 수 있다.*
연말정산 후 종합소득세 기한후 신고 (거주자 사업소득 신고 방법)
이번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다가, 2019년에 누락된 금액이 있는 걸 발견했다. 2019년에는 회사에 다니고 있을 때라 연말정산을 했기 때문에 따로 또 신고할 생각조차 못 했다. 이 금액은 아르바이
maeum123.tistory.com
'세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셀바이뮤직 BGM 등록 후기 (0) | 2021.05.25 |
---|---|
연말정산 후 종합소득세 기한후 신고 (거주자 사업소득 신고 방법) (0) | 2021.05.06 |
산업안전기사 필기 합격 후기 - 2021년 정기 기사 1회 (0) | 2021.03.19 |
지금까지 딴 자격증 총정리 (2020년 기준) (0) | 2020.12.31 |
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후기 (0) | 2020.12.31 |